본문 바로가기

취미 이야기..*/그밖의 제품

전기레인지 인덕션으로 라면 끓이기, 인덕션, 무선전기주전자 전기사용량

전기레인지에는 크게 인덕션과 하이라이트 방식이 있는데

걍 쉽게 구분하면 하이라이트 방식의 경우는 용기를 가리지 않고 가스레인지처럼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인덕션의 경우 통짜 철(Fe)바닥과 접촉해야 사용 가능.


단, 집에 들어오는 전기 배선 용량 및 사용 플러그 용량(벽전원 또는 멀티탭)을 계산해야 하며,

인덕션 3구를 돌리면서 에어컨 또는 히터를 틀면서 드라이기까지 돌리고 있는다면 아마 대부분의 가정집은 두꺼비집이 내려가는 상황이 발생할 걸로 보임

전기 공사가 잘 되지 않은 경우(대부분, 단가 낮추느라 ㄷㄷㄷ)에는 적당히 계산해서 사용해야 전기가 나가는 일을 예방할 수 있다.


여튼,

가장 쉽게 냄비 바닥에 자석이 붙나 안붙나로 인덕션 사용가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자석이 없다면 집에 오는 전단지 중에 냉장고에 붙여두라고 있는 녀석들, 그 뒤에 붙은 얇은 자성체를 저렇게 잘라 쓰면 됨)









냄비를 올리고, 인덕션 최대화력 가동









인덕션 최대화력 시 대략 1650W 전후한 전력 소모량









물이 이렇게 끓고(물의 양은 500ml 생수병 가득)









스톱을 늦게 했는데 대략 1분 50초 정도, 2분 이내










그리고 라면을 이렇게 익히기까지의 총 전력 소모량은










0.186kW의 전력 소모량 기록. 그럼 라면 하나 할 때 기준으로 대략 0.2kW로 계산해서

각자 집에서 쓰는 용량의 전력구간을 맞춰서 계산하면(누진제이므로) 대략적인 인덕션 사용 시 전기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누진제라 국민들에게 대단히 불리함, 기업은 신나게 펑펑 쓰는데) 









1782W의 전기소모량을 기록한 무선 전기주전자께서는









1분 33초라는 기록 달성









그리고 가스레인지의 경우









2분 10초의 기록을 남김

다만 각 제품군 비교 오차가 꽤 있는 실험이었으니 대략적인 느낌만 참조

(무선전기포트야 다른 용기를 쓰지 않고 전용 용기만 쓰니 상관 없다쳐도 인덕션과 가스레인지 사용 용기가 다름, 가스레인지의 경우 최대화력 미사용)









인덕션 중간화력부터 구간별 전력사용량(약한 화력의 경우 온도 유지 용도)

최대 9단중 5단 시









980W 전기 사용









7단 시









1280W 사용









인덕션 최대화력인 9단 시









1610W 정도 사용(최대 1700W 가깝게 사용함)

참고로 6평형 벽걸이 에어컨의 경우 500W대 사용(http://blmary.tistory.com/267)

사용시간에 따른 총 전력소모량에는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전열기구, 조리기구, 난방기구는 전기를 상당히 먹는 편이니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