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S20 울트라 만져보기 Samsung S20 Ultra
갤럭시 투고 To Go 서비스를 이용해 S20 울트라를 만져보게 됨
갔다오니 투고 픽업 pick up 서비스에서 지역 한정이지만 원하는 시간, 장소로 조율해 배달해주는
딜리버리 delivery 서비스도 생겼다고 함.
S20 노멀, S20 + 플러스 Plus , S20 울트라 중 S20 울트라 고른 이유는 센서 커진 폰 카메라 성능이 궁금해서 울트라 선택
S20 울트라, S20 노멀 버전 앞면 크기비교샷, S20 플러스 크기비교샷은 깜빡 ㅠㅠ
S20 울트라, S20 노멀 뒷면 크기비교샷
후면카메라 카툭튀 비교샷
S20 울트라, S20 노멀 카툭튀 두께 비교샷
S20+, S20 카툭튀는 스펙 상 같은듯?
개인적으론 카메라가 최우선순위 아니라면 S20 Plus, S20 노멀 버전이 잘팔릴듯, 울트라는 좀 무겁기도 하고
뭔가 팥 없는 단팥빵 같지만 일단 카메라 샘플은 나중에 정리하고 외형만,
S20 울트라 색상 중 블랙은 없어서 그레이로 ㅠㅠ
확실히 앞면 면적 중 거의 대부분이 화면일 정도로 베젤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됨
요즘 폰들은 거의 이렇게 생겨서 디자인은 걍 그런갑다 하는 중, 옆면이랑 뒷면은 어차피 껍데기 씌우니까 ㅠㅠ
카툭튀로 욕먹는 중이긴 하나, 센서가 커지고 렌즈들도 많아졌으니 현재로는 어쩔 수 없다고 봄.
모양 및 렌즈 배치에 따라 호불호 메불메는 있을 수 있음
버튼부, 플래그십 폰 답게 마감은 무척 좋음
USB-C 단자, 이제 모니터 단자도 이걸로 통일하면 안되나
문제의 S20 울트라 렌즈부, 스페이스줌 100배라고 써붙여 놨는데 결론부터 말하면 걍 영끌 디지털줌이라 보면 됨.
기존 폰카에서도 핑거링으로 확대해서 사진이나 동영상 찍는, 그런 걸 연상하면 딱 맞음. 단어 선점 및 마케팅의 승리.
(40인치 이상 대형 UHD PC 모니터로 보는(티비보단 모니터는 시청거리가 훨씬 가까우니) 경우 화질이 메롱일 수 있으나 작은 폰 화면으로 볼땐 디지털줌이더라도 적당히 쓸만함)
실질적으론 "광학 4배줌"이라고 보면 됨. 자체 후처리가 쓸만한지 10배 까지는 날 좋은 야외 기준 봐줄만함
주간 야외 기준 1억 화소를 이용해서 크롭해 쓰는 것도 쓸만함.
요즘처럼 대중적으로 디지털 결과물 소비를 모니터보다는 훨씬 작은 폰 화면으로 하는 시대에는
크고 무겁고 아름다운 렌즈교환식 카메라인 DSLR이나 미러리스 mirrorless 보다 절대적 화질이 떨어지더라도, 편의성이 훨씬 낫고(실시간 사진 후보정 및 공유) 화질도 점점 발전 중인 폰카의 등장 및 상향평준 보급은 소비자에게 무척 좋다고 생각함.
이미 고사된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 시장은 물론 dslr 및 미러리스 시장도 기존 디지털 카메라가 유행하기 전 시대로
회귀시킬 정도니, 스마트폰이 잡아먹은 시장업계만 해도 엄청 많구나! ㅠㅠ
일단 사진 화질은 크고 좋은 센서(센서 크기가 같다면 노이즈 면에선 단위면적 당 화소 밀집도가 낮은, 저화소가 낫다. (예. GH5 vs GH5s 같은 경우)) + 좋은 프로세서 + 좋은 렌즈 조합 + 시간이 지나며 극한까지 성능을 끌어내는(센서와 프로세서 고문!!) 사골 튜닝(AMD RX570 RX580이 드라이버가 발전하면서 성능도 발전하듯)인데
이제 폰카에도 큰 센서들 유행 시작하는 거 같아 무척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봄.(이것도 예를 들면 과거 파나소닉의 CM1이 1인치 센서를 쓴 적이 있긴 함)
아무튼, 왼쪽 위부터 1200만 화소 광각, 1억 화소 표준, 4800만 화소 망원 렌즈, 오른쪽 밑에는 심도 카메라
스페이스 줌 100배 Space Zoom 100X , 근데 카메라 지금까지 쓰면서 디지털 줌은 써본 적이 거의 없음
옵티컬 4배 줌 Optical Zoom 4X 라고도 병기했으면 그냥저냥 이해해줄만 한데 세계 최초 100배 줌 폰카!!를 선점하기 위한 마케팅이라고 봄.
위에도 썼지만 10배까진 봐줄 만함.
그래도 1억 화소, 100배(...)줌, 8K 동영상(물론 크롭, 24fps) 시대를 열게 한 첫 기기라는 사실은 맞으니까 그건 인정.
lpddr5 램+ UFS 3.0 롬으로 내장 메모리 및 처리 속도 더 빨라진 상황에 갤럭시 S20부터 메롱같은 엑시노스를 버리고(?) 아직 5G 원칩은 아니어도 스냅 855보다 더 나아진 스냅드래곤 865를 써서 약점이 사라진 지금, 이제 LG는 우쩌나 ㅠㅠ
3세대 3G에서 LTE->LTE-A로 넘어가던 4세대를 생각해보면 세대 초창기에는 유료베타테스터가 됐던 경험을(기기 유료테스터 ㅠㅠ 초기 LTE기기들은 LTE-A를 지원못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처럼, 5세대도 초기폰들은 대역폭이 바뀌는 발전한 5세대를 지원 못할 가능성이 높음, 물론 도입 시기에 따라 폰 교체 주기와 맞아 떨어질 수 있음) 요금제 유료테스터, 세대가 바뀔 때마다 사용요금이 은근슬쩍 올라감(=고정비 증가)) 되살려보자.
5세대 최신 하이엔드 폰이 급하게 필요하지 않은 사람들은 어차피 돈 좀 쓸 거 좀 더 기다렸다가 5세대 원칩 AP (요약하면 배터리 효율 증가) 적용된 기기로 구매하는 것도 나쁘지 않음. 물론 디지털 기기는 최신 사도 그 왕좌를 지키는 기간이 짧으니까 죽기 전에 사야 한다는 우스갯소리도 그럴듯하나, 항상 다음 기술 보급되어 싸지길 기다리는 것 보단 필요할 때(혹은 지름이 땡길 때 ㅋㅋ) 본인에게 필요한 성능 기기를 구매해서 쓰는 게 이득.
현 5세대 모뎀(?) X55 칩과 좀 더 발전된 X60 기술도 참조 삼아 링크 :
https://www.androidauthority.com/qualcomm-snapdragon-x60-5g-1084417/
과거 4세대 LTE -> LTE-A 시절을 되살리기 위한 참조 링크 :
카툭튀 부분
카툭튀
S50 울트라 V50 비교샷, 확실히 이렇게 보면 노치나 펀치홀 신경 안써도 베젤 면적 작은 울트라가 낫긴 함
S50 울트라, V50 뒷면
옆면
카툭튀 옆면 비교샷
유심트레이 부분, 이걸 보니 듀얼심 폰이 생각나는군.
해외 사용자들이나 국내서 듀얼심폰을 써본 사람들은 그 편리성을 이미 체감해서 알고 있지만, 사용 경험이 없는 경우 '그거 써서 뭐하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제 기기 성능은 해외폰들 포함 플래그십이나 메인스트림 급에선 어느 정도 상향평준화 된 터라
상업적 도구로 쓰는 경우 또는 화려하지만 무거운 모바일 게임을 풀옵션 메인으로 하는 경우가 아닌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체급 차이 나는 다운그레이드(혹은 업글)를 통한 역체감을 느끼는 경우 아니고는 성능 체감이 쉽진 않으므로, 통신비 절약 및 휴대폰 자급제 시장 활성화를 위해 듀얼심 폰을 보급하면 좋겠지만 시민이나 국가 같은 단체 압력이 없는 상태에서 통신사랑 제조사가 그럴리가 없겠지 (예시1. 유심1 : 통화 무제한용, 유심2 : 데이터 무제한 용 듀얼심 조합으로 통신비 절감, 예시2. 유심1: 공개 번호, 유심2: 개인생활용 번호)
듀얼심 폰을 하려면 통신사들은 가입자 증가는 노릴 수 있으나(듀얼심으로 안한 회선이 늘어나니까), 비싼 흑우(또는 영업용)요금제로 최대 뽑아먹던 순수익이 감소할테니 싫어할거고, 기기 제조사들은 2대 팔릴 거 1대 팔리면 당연히 수익 줄어들어 싫어할테니 듀얼심폰 보급은 쉽지 않을거임 ㅠㅠ
S20 울트라는 219그램
V50은 183그램, 그러나 배터리는 S20 울트라 5천, V50은 4천이므로 이변이 없는 한 S20 울트라의 승리
안드10 출발임과 동시에
보안 패치도 2월, 체감은 안돼도, 기분상 이런 건 확실히 좋네
배터리 정보
내장 롬 256기가 중 219.3기가 사용 가능
총 12기가 램은 확실한 장점임, 현재로는 노는 램이 있다 하더라도 판올림이 계속될수록 노는 램은 줄어들 수밖에 없음
같은 값, 같은 플래그십이라면 다다익램 ㅋㅋ (램이든 하드든 용량 크면 좋음)
전면 카메라 부분, 이놈도 4천만 화소
배터리 잔량 63퍼센트에서 PD 충전기 끼워보니
(레노버 씽크패드 E595 45W PD 충전기, ZMI 65W Gan PD 충전기, QC3.0 충전기 등 https://blmary.tistory.com/769 )
일단 15.8와트 충전 중, 충전기는 대여품목이 아니라서, 잔량이 20% 내외일 때 45W 등 더 고출력 충전이 가능한지, 아니면 충전 프로토콜이 안맞아서 45와트 충전이 안되는건지 다시 해봐야겠음
추가 => 삼성 갤럭시 경우 PD 충전이든 퀵차지 방식이든 PPS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고전력 고속충전이 가능한가 봄
현재 가지고 있는 충전기로는 15~16와트가 최대, 5000mA의 S20 울트라 배터리 19퍼센트 남은 상태에서 15와트 충전 시 81분 후 충전 완료로 나옴
15와트 충전으로도 고속충전 메세지는 나오긴 하네
15~16와트 사이
이게 화면 재생률 120Hz 설정, 확실히 부드럽긴 함, 좋은 디카 전자식 뷰파인더나 pc겜 중 fps 겜 좋아하는 사람들은 이미 체험했을 내용. 60Hz -> 게임용 144Hz 모니터 같은 거 생각하면 됨
단 2400 * 1080 FHD + 해상도에서 가능
패널 해상도인 3200*1440 WQHD+ 에선
60Hz만 사용 가능이니 참조
V50 듀얼 스크린 빼고 하다 보니 해상도가 중간인 2340*1080, 일단 둘 다 밝기 최대로 맞추고
색감도 대충 둘 다 비슷하게 만들어서 한 컷
V20의 ips 패널과도 비교, 밝기 최대, 색감 대충 맞추고, V20, V50, S20 ultra 화면 비교샷
논외 이야기로 조명을 끄고 셔터스피드를 최소 1/250 이상 두고 찍어보니 V20에서는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올레드 Oled V50, S20 울트라에서는 플리커 현상 발생, S20 울트라가 V50에 비해 플리커 현상이 좀 더 일어났다 정도.
단 V20은 ips여도 크고 작은 잔상 문제가 눈물이 앞을 가리는 ㅠㅠ
S20울트라 사진 및 8K 영상 샘플들은 조만간 언젠가(?) 업뎃 예정
'취미 이야기..* > 휴대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벨벳 VELVET 폰 LM-G900V 만져보기 (0) | 2020.05.07 |
---|---|
LG Q51 개봉기 LM-Q510N 구입기, Q51 갤럭시W 크기비교샷 추가 (2) | 2020.03.12 |
LG V50 듀얼스크린 장착 (0) | 2020.02.16 |
LG X6 2019 사용기 LM-X625n 구입기 (0) | 2020.02.16 |
LG X4 2019 개봉기 LM-X420n 후기 (0) | 2020.02.16 |